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중앙아시아에 대한 외국인 투자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UNCTAD(유엔무역개발회의)의 투자보고서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5개국에 대한 FDI 누계액은 2021년 말 기준 2,114억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세계은행의 1992~2020년 자료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각국에 대한 FDI 순 유입액은 에너지 개발 및 운송 부문에 대한 투자가 확대된 2005년 이후 증가 하였으며, 글로벌 경기침체와 함께 국가유가가 하락한 2015년 이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FDI 규모
-카자흐스탄이 72%로 가장 큰 비중을 점유하고 있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이 19%, 우즈베키스탄이 5%, 키르기스와 타지키스탄이 각각 2%의 비중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2021년의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FDI 유입액(누적액 기준)은 2000년에 비해 17.6배 증가하였는데, 투르크메니스탄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43배 증가), 투자액이 가장 많은 카자흐스탄은 15.1배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습니다
.
중앙아시아에 대한 FDI 추이와 국가별 현황
-(중앙아시아 FDI 추이) 세계은행의 1992~2020년 자료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각국에 대한 FDI 순 유입액은 전반적으로 2005년 이후 증가하였고, 2015년 이후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2005년 이후의 FDI 증가는 에너지 개발 및 운송 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에 따른 것이며, 2015년 이후의 FDI 감소는 글로벌 경기침체, 국제유가 하락, 그리고 중앙아시아 경제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러시아 경제성장률의 둔화에 따른 것으로 평가됩니다.
중앙아시아 국가별 FDI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자흐스탄) 카나흐스탄의 FDI 유입액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점차 감소 추세이며, 이는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대규모 에너지 개발 프로젝트가 감소한 데 기인합니다. 주요 유전 및 가스전 개발과 우라늄, 티타늄, 크롬, 구리 등의 광산 개발에 미국, 영국, 러시아, 중국 기업들이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은 2012~14년, 2018년을 제외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규모의 FDI 유입이 지속되어 왔습니다. 2018년 이후의 안정적이 FDI 유입 지속은 우즈베키스탄 신정부의 경제개혁 추진에 대한 국제사회의 긍정적인 평가의 결과로 분석됩니다. 우즈베키스탄에 대한 외국인투자의 부문별 비중은 제조업이 30.3%로 가장 높고, 이어 광물 및 에너지 9.7%, 농림, 수산업 8.4%, 주택건설 7.9%입니다.
-(키르기스,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2015년 이후 국제유가 하락과 러시아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FDI 순 유입액이 감소하였으며, 2019년 이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더욱 감소하였습니다.
키르기스의 제조업, 광물 채굴, 정보통신 분야에 대해 FDI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금을 비롯한 광물 부문에 FDI가 집중되어 있으며, 중국의 투자도 주로 광물 부문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이 추진된 2013년 이후에 중국의 대 키르기스 투자가 증가하였습니다.
타지키스탄에 대한 FDI 유입의 상당 부분은 광물 개발 부문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대 투자국인 중국의 투자 역시 광물 부문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연결되는 가스관 D라인이 타지키스탄을 통과하고 있으며, 중국의 CNPC가 이 구간의 가스관 건설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투르크메니스탄에 대한 FDI는 에너지 부문에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울러 IT, 건설, 제약, 경공업, 농업 등의 부문에도 투자가 진행되었습니다. 원유 및 천연가스 개발 사업에 중국, 말레이시아, UAE, 영국 등의 FDI가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카스피해 지역의 투르크메니스탄 유전 개발에 UAE, 말레이시아, 영국 에너지 기업들이 활발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앙아시아에 대한 외국인 투자, FDI 현황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주요 투자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의 디지털 인프라 개발 현황 (17) | 2023.02.26 |
---|---|
아프리카 주요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및 개발 잠재력 (28) | 2023.02.25 |
중앙 아시아, 중국 간 경제협력 (43) | 2023.02.21 |
현대차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진출 (73) | 2023.02.20 |
인도네시아 전기차 육성을 위한 정책을 강구하다 (37) | 2023.02.19 |
댓글